<퀀트투자 로드맵>
시대가 시대이니 만큼 퀀트투자 관련하여 찾아오시거나 문의주시는 후배님들이 많이 계시기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정리해드려볼까 합니다.
특히나 퀀트베이스 포트폴리오(펀드)매니저 내지는 퀀트애널리스트를 희망하시는 재학생분들(특히YFL후배님들!)이라면, 나름 일을 하면서 겪은 시행착오를 반영하여 말씀드리는 내용이니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Step1. 기초수학, 통계, 투자론에 대한 학습
- 금융공학에서 말하는 어려운 수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경계통이라면 누구나 듣는 경제수학정도(선형대수,미적분 등)를 착실하게 공부합니다.
- 투자론에서도 특히나 팩터모델, 포트폴리오 이론 부분에 대해 꼼꼼하게 공부합니다. 엑셀로 데이터를 직접 만져가며 실습까지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Step2. CFA준비(Optional)
- 이건 필수는 아니겠으나, 사실 포트폴리오매니저의 업무영역을 상당부분 커버하는 좋은 커리큘럼의 시험이므로 자산운용사를 지원하시겠다면 적극 권해드립니다.
Step3. (멀티)팩터모델의 이해
- 투자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주식을 계량적으로 투자하는 방법론에 대해 학습합니다.
- 관련서적
벤저민 그레이엄의 정량분석(Quant)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856556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856556
Quantitative Equity Portfolio Management : An Active Approach to Portfolio Construction and Management
https://www.amazon.com/Quantitative-Equity-Por…/…/0071459391
https://www.amazon.com/Quantitative-Equity-Por…/…/0071459391
- 간단한 시뮬레이션까지 꼭 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예를들면, PBR기준(PBR이 낮은 상위 종목들을 선정하여 기계적으로 리밸런싱을 해 갔을때의 성과가 어떨지 테스트 => 싱글팩터모델)
하다보면 멀티팩터모델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자기만의 모델링 노하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 부분은 Dataguide + 엑셀VBA 조합으로 충분히 구현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하다보면 멀티팩터모델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자기만의 모델링 노하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 부분은 Dataguide + 엑셀VBA 조합으로 충분히 구현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Step4. 두개의 키워드 : ETF, 스마트베타
- 향후 금융시장의 핵심키워드 중 하나인 ETF와 스마트베타에 대해 공부합니다.
- 유형별 ETF(국내주식형, 레버리지, 인버스, 해외주식(합성), 채권, 실물 등)에 직접 소액으로라도 투자를 해보면서 상품이 어떻게 운용이 되는지에 대해 공부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운용사에서 어떻게 운용을 하는지, 증권사 LP가 어떻게 헷지를 하면서 호가를 제시하는지 등
- 스마트베타
스마트베타 라는 것은 기존의 "액티브 매니저들의 알파소스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패시브하게 투자할 수 있게끔 상품화" 시킨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스마트베타 라는 것은 기존의 "액티브 매니저들의 알파소스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패시브하게 투자할 수 있게끔 상품화" 시킨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각 ETF운용사들의 홈페이지, 글로벌지수업체(MSCI등) 사이트 등에서 공부할 수 있는 각종 페이퍼들이 검색가능하며, 특히나 국내 대형ETF회사들이 출시한 스마트베타ETF의 기초지수 방법론 자료를 뜯어보며 공부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Step5. ETF Dynamic Asset Allocation(Rules-based)
- 결국 위의 과정을 다 버무리면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계량적ETF동적자산배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결국 위의 과정을 다 버무리면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계량적ETF동적자산배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기초를 닦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들 리스트업 해봅니다.
A Quantitative Approach to Tactical Asset Allocation, Meb Faber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962461.
A Quantitative Approach to Tactical Asset Allocation, Meb Faber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962461.
Risk Premia Harvesting Through Dual Momentum, Gary Antonacci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042750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042750
A Century of Generalized Momentum ; From Flexible Asset Allocation to Elastic Asset Allocation, Wouter J. Keller / Adam Butler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543979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543979
Protective Asset Allocation : A Simple Momentum-Based Alternative for Term Deposits, Wouter J. Keller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759734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759734
관련 서적
Dual Momentum Investing : An Innovative Strategy for Higer Returns with Lower Risk
https://www.amazon.com/Dual-Momentum-Investing…/…/0071849440
https://www.amazon.com/Dual-Momentum-Investing…/…/0071849440
=> 여기까지 내용은 엑셀만으로 구현이 가능한 방법론들입니다.(코딩도 필요없음) 반드시 직접 모델링을 해보시길…
- 포트폴리오 최적화가 들어간 버전
Adaptive Asset Allocation : A Primer, Resolve Asset Management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328254
Adaptive Asset Allocation : A Primer, Resolve Asset Management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328254
관련 서적
Adaptive Asset Allocation : Dynamic Global Portfolios to Profit in Good Times-and Bad
https://www.amazon.com/Adaptive-Asset-Allocat…/…/ref=sr_1_1…
Adaptive Asset Allocation : Dynamic Global Portfolios to Profit in Good Times-and Bad
https://www.amazon.com/Adaptive-Asset-Allocat…/…/ref=sr_1_1…
참고할만한 사이트들
http://www.investresolve.com/
http://www.alphaarchitect.com/
https://www.researchaffiliates.com/
http://www.investresolve.com/
http://www.alphaarchitect.com/
https://www.researchaffiliates.com/
=> 이외에도 굉장히 많은 사이트들에서 양질의 페이퍼들이 올라옵니다. 위 업체들도 자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굉장히 인사이트풀한 페이퍼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
Summary
- 포트폴리오 이론 -> 주식스크리닝 퀀트모델 -> ETF, 스마트베타 -> ETF동적자산배분
- 위의 스텝을 하나하나 하면서 자기 것으로 만들다 보면, 결국 “눈감고도 할 수 있는”, “시장의 일간등락에 일희일비 하지 않을 수 있는” 시스템적인 룰베이스 투자방식에 대해 감을 잡을 수 있게 됩니다.
덧. 기본적으로 엑셀 및 VBA로 시뮬레이션 많이 해보시고, 중간중간 틈틈이 R/파이썬에 익숙해 지시길 바랍니다. 엑셀로 직접 구현하기 힘든 최적화 등의 방법론에 대해 라이브러리를 통해 손쉽게 활용이 가능해 상당히 파워풀 합니다.
덧. 머신러닝 등과 같은 인공지능 기법들은 또다른 문제이니 위에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퀀트투자의 기본기를 닦으시고 인공지능 기법들에 대한 관심을 열어두시는게 향후엔 좋을 거라 생각합니다.
0 Comment to "Quantitative Investment LoadMap <퀀트투자 로드맵>"
Post a Comment